역사로 多이로운 문화도시 익산
엄혹한 세월,
항일독립투쟁에
몸과 마음을 바친
이리·익산의 71인 독립유공자들을 기억합니다.
이리 모현리. 1905년 을사보호조약이 체결되자 관직을 버리고 낙향하여 충절을 지키겠다는 일념으로 돌을 안고 우물에 빠져 순절했다. 1990년 애국장에 추서되었다.
익산 웅포면. 군산에서 독립만세운동을 전개하고 시가행진을 벌이고 구속자들의 석방요구 시위를 벌이다가 체포되었다. 3.1운동 계열로 1992년 대통령표창에 추서되었다.
익산 황화면. 익산군 천도교도로 여산읍에서 독립선언서를 배부하고 군중을 규합하다가 체포되었다. 3.1운동 계열로 1992년 대통령표창에 추서되었다.
익산 왕궁면. 1919년 3.1 운동 당시 3·18 금마장터 만세운동을 주도하다가 체포되었다. 2006년 애족장에 추서되었다.
강인성(姜仁聲 1897~1930)
익산 낭산면. 1919년 3.1 운동 당시, 익산군 천도교도로 여산읍에서 독립선언서를 배부하고 군중을 규합하다가 체포되었다. 2013년 대통령표창에 추서되었다.
익산 남일면. 의병장 이원호 휘하의 의병으로 항일활동을 전개하다가 체포되었다. 의병운동가로서 1995년 애족장에 추서되었다.
익산 남일면. 완주군 고산에서 의병활동을 전개하고 군자금과 군수품을 징발하기 위한 활동을 하다가 체포되었다. 의병운동가로 1995년 애족장에 추서되었다.
익산 오산면. 광주사범학교 재학 중 무등독서회를 조직하고 민족의식 고취와 연합군 상륙작전에 호응하여 행동대원으로 활동할 것을 계획하다가 체포되었다. 학생운동으로 2017년 대통령표창에 추서되었다.
익산 북일면. 김제청년동맹 백산지부에 가입하여 농민운동을 전개. 사회주의 운동을 펼치다가 체포되었다. 국내항일운동으로 2009년 대통령표창에 추서되었다.
김화곤(金華坤 1899~1944)
익산 오산면. 3.1운동 당시 문용기 열사 등과 함께 4·4만세운동을 기획하고 현장에서 독립선언서 낭독. 일본 헌병대의 고문으로 석방 후 사망했다. 1990년 애족장에 추서되었다.
익산 북일면. 고산에서 독립운동자금을 모집하다가 동료가 체포되어 순국하였다는 소식을 접하고 자수했다. 국내항일가로 2014년 애족장에 추서되었다.
익산 금마면. 1927년 신간회에 가입하여 군자금 모금과 항일의식 고취 활동을 수행했다. 국내항일운동가로 1990년 애족장에 추서되었다.
익산 출신. 의병장 이원호 휘하의 의병으로 항일활동을 전개하다가 체포되었다. 의병운동으로 1995년 애국장에 추서되었다.
익산 황등면. 전주북중학교 교원시절 기회가 있을 때마다 일제의 패망을 학생들에게 교육하다가 체포되었다. 문화운동가로 1990년 애국장에 추서되었다.
익산 오산면. 3.1운동 당시 4·4만세운동을 주동하였으며 목숨이 끊어지는 순간까지 독립만세를 외치다가 순국했다. 1990년 애국장에 추서되었다.
왕궁면 출신. 의병장 김경섭 휘하 의병으로 활동하다가 군자금 모집활동 중 체포되었다. 의병운동으로 2015년 애족장에 추서되었다.
익산 춘포면. 3.1운동 당시 4·4 만세운동에 참여하여 일본군의 총탄에 현장에서 순국했다. 1994년 애국장에 추서되었다.
두남 출신. 의병장 유지명 휘하 의병으로 일본군과 무장투쟁을 전개하다가 체포되었다. 의병운동가로 1995년 애족장에 추서되었다.
익산 여산면. 1919년 3.1운동 당시 3·10 여산만세운동 계획을 수립하고 시위행진을 벌이다 체포되었다. 1990년 애족장에 추서되었다.
익산 용안면. 3.1운동 당시, 서울에서 유학 중 세브란스 의전 학생 김병수와 만세시위를 계획하고 4·4만세운동에 참여하였고 4월 8일 용안면에서 만세시위를 일으키다가 체포되었다. 3.1운동으로 2015년 애족장에 추서되었다.
익산 서일면. 의병장 이규홍의 부장으로 군자금 모집활동을 전개. 이규홍 의진 해산 후 독자적으로 활동하다가 체포되었다. 의병운동가로 2015년 애국장에 추서되었다.
배헌(裴憲 1896~1955)
익산 황화면. 3.1운동 당시 천도교 여산교구장으로 교구임원들과 만세운동 계획을 수립하고 황화면과 여산읍 등지에 독립선언서를 배포하다가 체포되었다. 1992년 대통령표창에 추서되었다.
익산 북일면. 의병장 이규홍의 부장으로 일본군과 항전하다 남한대토벌작전으로 자진해산 후 광복까지 지하에 은신했다. 의병운동가로 1990년 애국장에 추서되었다.
이리 출신. 만주 신흥무관학교 출신으로 귀국 후 동아일보 기자로 활약하며 대중계몽과 항일투쟁을 전개하였고 신간회 익산지회 창립으로 체포되었다. 국내항일운동가로 1991년 애국장에 추서되었다.
변규섭(邊圭燮 1911~1945)
익산 금마면. 조선인 청년 및 노동자 단결을 촉구하는 선전격문을 금마장터에 게시하다가 체포되었다. 국내항일운동가로 1993년 건국포장에 추서되었다.
왕궁면 출신. 의병장 이기준 휘하의 의병으로 용안면 일대에서 군자금 모집활동을 벌이던 중 일본 순사들의 공격으로 순국했다. 의병운동가로 1996년 애국장에 추서되었다.
익산 춘포면. 1929년 광주학생운동 1주년을 기억하고 민족의식 고양을 위해 전주에서 격문을 작성하여 배포하다가 체포되었다. 국내항일운동가로 2008년 대통령표창에 추서되었다.
익산 북일면. 3.1운동 당시 4·4만세운동에 참여하여 일본군의 총탄에 현장에서 순국했다. 1991년 애국장에 추서되었다.
익산 황화면. 조선독립단에 가입하여 익산군 일대에서 독립운동자금을 모집하다가 체포되었다. 국내항일운동가로 2016년 애국장에 추서되었다.
익산 금마면. 3·1운동에 참여하여 일제에 항거하고 상해로 망명하여 상해임시정부에 군자금을 제공했다. 임시정부운동가로 1992년 건국포장에 추서되었다.
익산 춘포면. 3.1운동 당시 3·28 금마장터 만세운동을 앞장서서 주도하다가 체포되었다. 2010년 대통령표창에 추서되었다.
소진형(蘇鎭亨 1886~1936)
익산 왕궁면. 상해임시정부 수립 후 군자금 모금활동을 전개하다가 체포되었다. 임시정부운동가로 1990년 애국장에 추서되었다.
익산 망성면. 3.1운동 당시 대전면민의 독립만세운동을 계획하고 독립만세운동을 주도하다가 체포되었다. 1990년 애족장에 추서되었다.
익산 북일면. 3.1운동 당시 익산군 천도교도로 만세운동 확산을 위해 함열과 논산지방에 대한 연락과 군중동원 책임을 수행하다가 체포되었다. 1995년 대통령표창에 추서되었다.
익산 왕궁면. 3.1운동 당시 3·18 금마장터 만세운동을 주도하다가 체포되었다. 2014년 대통령표창에 추서되었다.
의병장 이석용 휘하 의병으로 진안·임실·장수 일대에서 무장투쟁을 전개하다가 체포되었다. 의병운동가로 2006년 애국장에 추서되었다.
송태식(宋泰植 1884~1946)
심홍택(沈弘澤 1909~1959)
유봉우(劉奉祐 1861~1947)
익산 왕궁면. 의병장 유치복 휘하의 의병으로 항일전에 참가했다. 1990년 애국장에 추서되었다.
익산 삼기면. 서울 중앙고등보통학교 재학 중 광주학생항일운동에 이은 동맹휴교를 주동하다가 체포되었다. 학생운동가로 2002년 건국포장에 추서되었다.
왕궁면 출신. 의병활동을 전개하였고 익산·강경·여산 일대에서 군수품 모집활동을 하다가 체포되어 총살 순국했다. 의병운동가로 1996년 애국장에 추서되었다.
익산 웅포면. 3.1운동 당시 강경읍에서 만세운동을 전개하다 현장에서 체포되었다. 1990년 애족장에 추서되었다.
이리. 3.1운동 당시 강경읍에서 만세운동을 전개하다 현장에서 체포되었다. 2010년 대통령표창에 추서되었다.
익산 웅포면. 3.1운동 당시 익산군 천도교도로 웅포면 일대에 독립선언서를 배포하고 3월 10일 독립만세시위를 전개하다가 체포되었다. 1993년 대통령표창에 추서되었다.
익산 황화면. 일제강점기 말 공주농업학교 재학 중 방학으로 고향에 내려와 민족독립의식 고취를 위한 발언으로 체포되었다. 국내항일가로 2011년 대통령표창에 추서되었다.
익산 금마면. 전주공립고등보통학교 재학 중 독서회를 조직하여 사회운동 자금을 모집하다가 체포되었다. 국내항일가로 2008년 대통령표창에 추서되었다.
익산 낭산면. 1940년 조선인해방투쟁동맹 조직에 참여하여 일제 타도를 목적으로 항일운동을 전개했다. 학생운동가로 2006년 건국포장에 추서되었다.
임봉 출신. 1907년 스스로 의병장이 되어 고산·진안·장수·용담 일대에서 일본군과 대항했다. 의병장으로 1990년 애국장에 추서되었다.
이기영(李琪榮 1849~1922)
익산 팔봉면. 의병장 이규홍의 부친으로 재산을 매각하여 의병활동 군자금을 제공했다. 의병운동으로 2015년 건국포장에 추서되었다.
익산 여산면. 조선어학회 활동과 진단학회 창립 발기인이 되어 국학운동에 적극적으로 활동했다. 문화운동가로 1990년 애국장에 추서되었다.
이중열(李仲悅 1869~1928)
임규(林圭 1863~1948)
임영택(林榮澤 1901~1957)
임혁근(林赫根 1898~1934)
익산 여산면. 3.1운동 당시 3·10 여산만세운동 계획을 수립하고 시위행진을 벌이다 체포되었다. 1992년 대통령표창에 추서되었다.
익산 황등면. 3.1운동 당시 익산군 천도교도로 이리교구장 이중열에게 독립선언서를 전달받아 옥구군 대야면과 군산에서 독립선언서를 배포하다가 체포되었다. 2007년 대통령표창에 추서되었다.
익산 금마면. 경술국치 후 만주로 망명하여 대한광복회에 가입하여 항일운동 전개. 귀국하여 군자금 모집활동 중 체포되었다. 임시정부운동가로 1990년 애국장에 추서되었다.
익산 여산면. 3.1운동 당시 3·10 여산만세운동 계획을 수립하고 시위행진을 벌이다 체포되었다. 1990년 애족장에 추서되었다.
익산 북일면. 3.1운동 당시 천도교 이리교구장으로 익산지역 만세운동을 촉발하기 위해 독립선언서를 배부하다가 체포되었다. 1992년 대통령표창에 추서되었다.
익산 웅포면. 3.1운동 당시 익산군 천도교도로 독립선언서를 배포하다가 체포되었다. 2012년 대통령표창에 추서되었다.
익산 금마면. 3.1운동 당시 손병희 등이 주축이 된 거족적 독립운동계획에 참여했다. 1990년 애국장에 추서되었다.
이리 출신. 갑자연구회, 이리청년연맹 등을 조직하고 신간회 익산지회 창립에 기여했다. 국내항일운동가로 1990년 애국장에 추서되었다.
익산 금마면. 갑자연구회 조직과 신간회 익산지회 창립에 기여. 중외일보 이리지국장 재직시절 전북기자단 정기대회 개최로 체포되었다. 국내항일운동가로 1990년 애국장에 추서되었다.
익산 오산면. 3.1운동 당시 4·4만세운동에 주도적으로 참여하였으며 선두에서 만세시위를 전개하다가 일본군의 총탄에 순국했다. 1991년 애국장에 추서되었다.
경술국치로 나라가 망하자 포고문과 통곡문을 짓고 의관을 정제하고 공북루(拱北樓)에 올라 자결 순국했다. 1962년 독립장에 추서되었다.
익산 여산면. 황해도 서흥군에서 비밀결사 교육자동지회를 조직하여 활동하고 학생과 농민들에게 민족의식 고취활동을 전개하다가 체포되었다. 국내항일운동가로 1990년 애족장에 추서되었다.
조남헌(趙南憲 1923~1996)
조용관(趙容寬 1885~1950)
최장윤(崔長潤 1916~1984)
홍건표(洪建杓 1923~1975)
홍순갑(洪淳甲 1896~1929)
왕궁면 출신. 의병장 이규홍 휘하의 의병으로 항일활동을 전개하다가 체포되었다. 2015년 건국포장에 추서되었다.
이리 출신. 송정섭과 조선독립을 위한 방안을 협의하다가 체포되었다. 국내항일운동가로 2013년 애족장에 추서되었다.
익산 함라면. 군산에서 노동운동과 사회운동의 지도자로 항일투쟁 전개했다. 국내항일운동가로 2005년 건국포장에 추서되었다.
동하 출신. 의병장 이기준 휘하 의병으로 군자금 모집을 위해 활동하다가 일본순사들의 공격으로 교전 중 순국했다. 의병운동가로 1996년 애국장에 추서되었다.
익산 낭산면. 1945년 중국 일본군헌병대 통역으로 재직 중 체포된 이규학을 구출하고 광복군에 입대했다. 광복군운동가로 1990년 애족장에 추서되었다.
익산 금마면. 항일학생결사인 흑백당을 결성하고 거사를 위해 무기까지 준비하였으나 경찰의 가택 수색으로 발각되어 체포되었다. 학생운동가로 1990년 애족장에 추서되었다.
익산 금마면. 3·1운동 후 국내와 만주를 활동무대로 항일활동을 전개하다가 체포되어 신의주형무소 복역 중 순국했다. 만주항일운동가로 1990년 애국장에 추서되었다.
익산 금마면. 3.1운동 당시 천도교도로 성당면과 낭산면의 독립만세운동을 전개하기 위해 독립선언서 배포했다. 1996년 대통령표창에 추서되었다.
익산 함열읍. 김제 치문학교 교원시절 학생들에게 민족의식 고취를 위한 강의를 전개하다가 체포되었다. 국내항일운동가로 1993년 건국포장에 추서되었다.
익산 망성면. 6·10만세운동을 주동하여 현장에서 일본경찰에 체포되었다. 국내항일운동가로 1990년 애족장에 추서되었다.
이리 출신. 1943년 광복군에 입대하여 대일 선전공작, 적 정보수집, 포로심문 등의 임무를 수행했다. 광복군으로 1990년 애족장에 추서되었다.